쌍준
2022. 6. 27. 18:08
식별자(identifier)는 파이썬에서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.
이름을 붙일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지켜야 한다.
1.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 된다.
미리 의미가 부여된 특별한 단어인 키워드를 식별자로 그대로 사용하면 안 된다.
단, 키워드를 포함해서는 이름을 붙여도 된다. ex) TrueOrFalse (O)
2. 특수문자는 언더바( _ )만 사용 가능하다. ex) specialitem! (X)
3. 숫자로 시작하면 안 된다. ex) 999train (X)
4. 공백을 포함할 수 없다. ex) item list (X)
위 규칙을 지키고 식별자를 만들어서 써도 되지만 개발자들은 구분을 위해 두 가지 케이스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.
1. 스네이크 케이스
소문자 단어 사이에 언더 바 기호를 넣는 방법이다. ex) item_list
2. 캐멀 케이스
단어들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만드는 방법이다. ex) ItemList
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다루겠지만, 식별자가 붙는 것에는 클래스, 함수, 변수가 있다.
식별자 | 캐멀 케이스 (대문자) | 클래스 | |
스네이크 케이스 (언더바) | 뒤에 괄호가 있다 | 함수 | |
뒤에 괄호가 없다 | 변수 |
이런 방식으로 식별자의 이름만 보고도 구분을 할 수 있게 해놓았다.
예제를 풀어보자.
1. print() : 대문자가 아니고 괄호가 있으므로 함수
2. math.e : 대문자가 아니고 괄호가 없으므로 변수
3. Animal : 대문자가 있으므로 클래스